(서머리 책요약) 현대 기독교 선교 - 존 스토트 (9)
그리스도께서 비기독교 세계에도 계시는가?
베드로 바울 요한의 성경에 나오는 대표적 증거들은 모두 비기독교 세계에서 계속 활동하시는 하나님의 활동을 선언한다. 하나님께서 는 자기 자신을 증거하지 않으신 것이 아니었다. ‘책망학’의 위치, 우리는 비기독교적 체계들 속에 진리의 요소들, 우리는 비기독교적 종교의 부적합성과 허위성을 폭로하고자 하며, 주 예수 그리스도의 적합성과 진리성, 절대성 및 최종성을 논증하고자 한다.
이 과업을 기술적으로 일컬어 ‘책망학’이라 한다. 이 말은 헬라어 동사‘엘렝케인’에 서 유래된 것으로‘확신시키다’‘유죄선고 하다’혹은 ‘책망하다’등을 의미한다. 즉 회개하도록 촉구한다는 뜻이다.
책 망학의 목적은
첫째, ‘이교계의 모순성’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다.
둘째, 이 과제의 정당성은 성경 자체가 보여준다.
셋째, 책망학은 얼핏 느껴지는 것처럼 그렇게 거칠고 부정적인 활동이 아니다.
넷째, 궁극적으로 책망학은 성령의 사역이란 점이다.
대화 찬성론,
첫째, 참된 대화는 진정성의 표시이다.
둘째, 참된 대화는 겸손의 표시이다.
셋째, 정직의 표시이다.
넷째, 민감성의 표시이다.
결론적으로 서로 다른 세 측면에서 그 사례를 제시하려 한다.
첫째, 인 도에서의 힌두교와의 대화,
둘째 아랍세계에서의 모슬렘교와의 대화,
셋째 영국공업지대에서의 대화가 그것이다.
스탠리 존스의 ‘원탁’방식에 있어서 특별히 두 가지 국면이 본인에게 감명을 준다.
첫째, 공정성과 상호존경심을 그가 주장한 점이다.
둘째, 그 회담 속에 예수 그리스도의 최상위성이 온통 나타났다는 것이다. 모슬렘교도와의 대 화, 저자는 두 번째의 사례를 힌두세계가 아닌 모슬렘 세계에 관련된 것으로 들어 보겠다. 우선 기독교인은 이슬람 이 모슬렘교도들에게 무엇을 의미하는 가를 이해해야 한다. 그리고 그 다음에 기독교인은 기독교가 모슬렘에게 어 떻게 보이는가를 또한 이해해야 한다. 그것은 두 번째로 행동에의 요청이며 소극적이며 적극적인 의미에서 행동에 의 요청이다.
크랙 주교는 우리 기독교인들이 수행해야 할 회복사업을 가리켜 ‘만회’란 말을 사용한다.“ 그것은 사랑, 순결, 열정에서의 실패이며 정신의 실패이다. 영국 산업지대에서의 대화, 저자는 기독교적 대화의 사례를 후 기독교적 영국에서 찾고자 한다. 도시선교는 “기독교인들의 변방적 문제가 아니라 하나님의 사업에 있어서 오늘날 가장 우선적인 일들 중에 하나이다” 기독교인들은 그들의 시간의 우선권을 “그 지역사회의 타인들과 협력하는 일”과 그들 지역 자체의 일부 중요한 사회적 문제들을 그들과 동일한 사람들로 처리하는 일에 주어야 한다. 참된 대화의 표시란 전기한 바대로 진정성, 겸손, 정직 그리고 민감성이다. 이런 동정에는 청취가 포함되며 청취는 대화 를 의미한다. 더 나아가서 그것은 융통성 없는 구호에 의한 복음화를 지양하고 인간의 참된 딜레마 속에 예민하게 끼어들라고 하는 성육신의 도전인 것이다.
'읽기 > 존스토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머리 책요약) 현대 기독교 선교 - 존 스토트 (11) (0) | 2018.06.23 |
---|---|
(서머리 책요약) 현대 기독교 선교 - 존 스토트 (10) (0) | 2018.06.23 |
(서머리 책요약) 현대 기독교 선교 - 존 스토트 (8) (0) | 2018.06.23 |
(서머리 책요약) 현대 기독교 선교 - 존 스토트 (7) (0) | 2018.06.23 |
(서머리 책요약) 현대 기독교 선교 - 존 스토트 (6) (0) | 2018.06.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