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머리 책요약) 현대 기독교 선교 - 존 스토트 (8)
3장 성서적 대화관
극단적인 견해들,
복음은 선포하기에 적합한 것이지 상냥한 토론에 적합한 것은 아니다. 복음은 타협을 불허하는 하나님으로부터의 계시이다. 만약 우리의 목적이 복음을 좀 더 깊이 이해하고 그리고 남들이 복음을 잘 받아들일 수 있게 하는 데 있다면, 우리는 그 의미와 그 해석을 얼마든지 토론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하나의 극단은 전파에 대 한 가중적 혐오감 혹은 적어도 권위적 내지 독단적인 전파에 대한 혐오감을 가지는 쪽이다. 선포는 거만하다는 것 이다.겸손한 전달방식은 대화의 방식이라는 것이다. 이것이 하나의 무절제한 과장으로 보인다. 좋은 기독교적 전 파가 항상 대화적이라는 것은 사실이다. 그것은 전파가 청중들의 마음을 끌어 그들에게 적절하게 말하는 것이라는 의미에서 그렇다.
그러나 모든 일방적 전달이 교만하다는 것은 사실이 아니다. 성경에서의 대화 대화에 관한 이 대화에서 우선 정의부터 내려야 할 것이다. “대화는 각 당사자가 주제와 상대방에 대한 접근에 있어서 진지하며, 말하고 교훈하기를 원할 뿐 아니라 듣고 배우기를 원하는 하나의 담화이다” 이렇게 정의한 뒤에 성서에 계시된 살아계신 하나님께서 친히 인간과의 대화에 개입하신다는 사실을 주목하는 것이 중요하다.
후에 사울이 사도 바울로서 그의 위대한 선교여행들을 나서기 시작했을 때 그의 방법의 본질적 부분으로 대화의 형태를 사용한 것을 본다 는 것은 교훈적이다. 논증, 설명, 증명, 선포 및 설득 등 다섯 단어는 바울이 실제로 유대인들과 논쟁하고 그의 메 시지에서 그들의 반박을 듣기도 하고 대답하기도 하였음을 암시하였다.
요컨대 바울은 그의 모든 전파에서 그랬다고 할 수 는 없으나 대개의 경우 다소 대화를 그의 전파에 포함시켰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바울의 사역에 포함 된 대화의 종류는 오늘날 흔히 유행되는 대화와는 전혀 다른 것이다. 바울의 대화란 그의 선포의 일부분으로서 그 의 선포에 종속적이었음이 분명하다.
대화 반대론, 보수주의 기독교인은 대화가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반역이나 별반 다를 바 없다 하여 대화를 반대한다. 바르트는 그의 변증법에서 종교와 계시를 대치시키고 종교란 하나님의 말씀에 거슬리는 인간의 종교성이라고 지적했다.
그리스도께서 비기독교 세계에도 계시는가?
'읽기 > 존스토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머리 책요약) 현대 기독교 선교 - 존 스토트 (10) (0) | 2018.06.23 |
---|---|
(서머리 책요약) 현대 기독교 선교 - 존 스토트 (9) (0) | 2018.06.23 |
(서머리 책요약) 현대 기독교 선교 - 존 스토트 (7) (0) | 2018.06.23 |
(서머리 책요약) 현대 기독교 선교 - 존 스토트 (6) (0) | 2018.06.22 |
(서머리 책요약) 현대 기독교 선교 - 존 스토트 (5) (0) | 2018.06.22 |
댓글